치경 방출 마찰음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치경 방출 마찰음은 혀끝과 잇몸에서 조음되는 무성 자음의 한 종류이다. 후두를 상승시켜 성도 내 기류를 생성하는 방출음이며,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는 구음이다. 많은 언어에서 [tsʼ] 파찰음과 이음 관계를 가지며, 아디게어, 간자어, 하우사어, 케레스어, 라코타어, 틀링깃어, 상부 네칵사 토토나코어, 에메바-카티오어 등에서 사용된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방출음 - 양순 방출음
양순 방출음은 아랫입술과 윗입술을 사용하여 후두를 상승시켜 기류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내는 무성 구강 방출음으로, 일부 언어에서 드물게 나타난다. - 방출음 - 치경 방출음
치경 방출음 [tʼ]은 혀끝과 치경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무성 구강 방출음으로, 다양한 변이음이 존재하며 여러 언어, 특히 코카서스 제어에서 흔히 발견된다. - 치경음 - 무성 치경 파열음
무성 치경 파열음은 폐에서 나오는 공기로 혀끝과 치조 사이에서 발음되는 소리로, 혀로 공기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며, 한국어의 ㄷ, ㅌ, ㄸ, 영어의 't', 일본어의 た(タ) 등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. - 치경음 - 치경 비음
치경 비음(/n/)은 혀 앞쪽이 잇몸에 닿아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성 비음으로, 혀의 접촉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며, 한국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 사용된다. - 마찰음 - 무성 양순 마찰음
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,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. - 마찰음 - 유성 치경 마찰음
유성 치경 마찰음은 혀끝과 치조릉 사이의 마찰로 나는 유성음으로, 국제 음성 기호는 /z/이며,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고, 한국어에는 없지만 중세 한국어의 반치음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.
치경 방출 마찰음 | |
---|---|
음성학적 정보 | |
IPA 번호 | 132 + 401 |
IPA 기호 | /sʼ/ |
십진수 | 115, 700 |
X-SAMPA | s_> |
ASCII | s` |
2. 특징
- 많은 언어에서 [tsʼ]의 파찰음과 이음 관계를 가진다.[1]
- 조음 방식은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는 무성음이다.
- 조음 위치는 설단과 치경에 의한 치경음이다.
- 구강 내 기류는 후두를 상승시켜 성도 내에 기류를 생성함으로써 생기는 방출음이며,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이다. [1]
2. 1. 조음 방법
- 발성 -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는 무성음이다.[1]
- 조음 위치 - 설단과 치경에 의한 치경음이다.[1]
- 구강 내 기류[1]
- 후두를 상승시켜 성도 내에 기류를 생성함으로써 생기는 방출음이다.[1]
-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이다.[1]
3. 언어별 표기 및 사용 예시
언어 | 단어 | IPA | 의미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아디게어 (샤프수그 방언) | [sʼə] | '이름' | 다른 방언의 [tsʼ]에 해당. | |
간자어[2] | [sʼásʼà] | ‘뚱뚱한, 두꺼운’ | ||
하우사어[3] | tsuts'aha | [sʼusʼa] | '벌레' | 일부 방언에서 /tsʼ/의 변이음 |
케레스어 | sʼeeka | [sʼeːkʰa] | '확실한' | |
라코타어 | sʼalkt | [sʼa] | '습관적으로' | |
틀링깃어[4] | sʼeektli | [sʼiːkʰ] | '곰' | |
상부 네칵사 토토나코어[5] | [ˈsʼa̰ta̰] | '작은' | ||
에메바-카티오어[6] | /sokʰo/ [sokxo] | '일종의 물 항아리' | ||
암하라어[7] | ጻፈam | [sʼafə] | '그는 썼다' | |
하우사어[8] | tsuntsaye | [sʼúnsʼàːjéː] | "새(복수)" | 표준 하우사어(카노 방언)에서 ts는 [sʼ]이지만, 실제로는 개인차나 방언차가 있어, [t͡ʃʼ] 또는 [t͡sʼ]처럼 파찰음으로 발음되기도 한다.[9][10] |
틀링깃어[11] | [sʼaː] | "요구" |
위 표는 다양한 언어에서 치경 방출 마찰음 [sʼ]가 사용되는 예시를 보여준다. 각 언어별로 발음, 표기, 의미 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3. 1. 아디게어
샤프수그 아디게 방언에서 는 '이름'을 뜻하며, 다른 방언의 [tsʼ]에 해당한다.[2]3. 2. 간자어
언어 | 단어 | IPA | 의미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간자어[2] | colspan="2" align="center" | | ‘뚱뚱한, 두꺼운’ |
3. 3. 하우사어
'''ts'''u'''ts'''aha (벌레)[3], tsuntsayeha (새(복수))[8]와 같이 사용된다. 표준 하우사어(카노 방언)에서 'ts'는 이지만, 실제로는 개인차나 방언에 따라 또는 처럼 파찰음으로 발음되기도 한다.[9][10] 일부 방언에서는 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.3. 4. 틀링깃어
'''sʼ'''eek|곰tli[4], "요구"[11]3. 5. 암하라어
ጻፈ|sʼafəam "그는 썼다"[7]3. 6. 케레스어
케레스어에서 '''sʼeeka'''는 로 소리나며, '확실한'이라는 의미를 가진다.3. 7. 라코타어
sʼalkt는 라코타어에서 IPA [sʼa]lkt로 소리나며, '습관적으로'라는 의미를 가진다.3. 8. 상부 네칵사 토토나코어
상부 네칵사 토토나코어es에서 는 '작은'을 의미한다.[5]3. 9. 에메바-카티오어
언어 | 단어 | IPA | 의미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에메바-카티오어[6] | /sokʰo/ [sokxo] | '일종의 물 항아리' |
참조
[1]
논문
Affricating ejective fricatives: The case of Tigrinya
https://www.jstor.or[...]
2011
[2]
논문
A Phonology of Ganza
http://journals.dart[...]
2017-01-16
[3]
서적
Hausa
https://www.jbe-plat[...]
John Benjamins
2001-12-19
[4]
논문
Aspects of the Phonetics of Tlingit
https://www.jstor.or[...]
2001
[5]
논문
The emergence of ejective fricatives in Upper Necaxa Totonac
https://www.academia[...]
2006-01-01
[6]
간행물
Nasalization in a revision of Embera-Katio phonology
https://www.sil.org/[...]
MA thesis, University of Texas
1994
[7]
서적
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
Cambridge University Press
[8]
문서
Ladefoged & Madieson (1996) p.178
[9]
문서
Newman (1987) p.710
[10]
서적
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
Cambridge University Press
[11]
문서
Ladefoged & Madieson (1996) p.179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